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Your body Your choice Since 1986

초음파 검사

  • 초음파검사
  • 갑상선초음파검사
  • 복부초음파검사
초음파검사는 초음파 영상을 실시간으로 얻어 신체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 초음파 영상이란 일반적으로 귀에 들리지 않는 높은 주파수의 음파를 인체 표면에서 인체 내부로 보낸 후 내부에서 반사되는 음파를 영상화시킨 것을 말합니다.

초음파 검사의 장점

위궤양 및 위암 환자들이 만연한 우리나라에서 위장관내시경 검사는 질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검사에 따른 고통 등으로 인하여 많은 환자들이 내시경 검사를 회피하거나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시경 검사의 이런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면내시경과 굵기가 5-6 mm정도의 가는 내시경을 (세경)사용하게 되지만, 이런 세경을 사용하는 경우 시야가 매우 작고
기구의 조작이 힘들며 검사 및 치료 내시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면 내시경을 이용합니다.

도플러 초음파 검사란?

혈류를 측정하는 초음파검사를 도플러 초음파검사라고 부릅니다. 도플러 초음파검사는 복강, 팔, 다리, 목의 중요 동맥과 정맥의 혈류 량을
측정할 수 있고, 협착 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로 알아 낼 수 있는 질병

(1) 갑상선에 덩어리가 만져지고, 이 덩어리의 모양, 크기, 범위를 알기 위해서
(2) 갑상선에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서 악성으로 의심되는 덩어리가 발견되었을 때
(3) 갑상선 수술 후 수술 부위를 살펴 보고, 수술 후 경과를 보기 위해
(4) 갑상선암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의 경우 갑상선을 관찰하기 위해
(5) 갑상선암 수술 후 재발되었거나 전이가 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간 기능 검사 이상 시 일차적 검사로 이용, 간암, 간경화, 지방간, 간염, 간농양 등 진단 및 추적검사
간 이식 수술 전 후 혈류평가에 이용, 종양 고주파 열 치료 시 사용
췌장/비장 췌장염/ 암, 비종대, 비낭포 등
담낭계/신장 담낭염/암, 담석증, 담관암, 담낭 폴립의 추적 검사, 담낭/담관 결석
, 신석, 수신증, 신세포암, 혈관근지방종, 신장실질
및 신장종양의 조직 검사, 신장종양의 고주파열 치료 등
자궁/난소 자궁근종, 자궁암, 난소암, 난소낭종 등 진단
태아 임신여부, 태아발육상태, 기형아, 자궁외 임신 등 진단
전립선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진단 및 전립선암의 조직 검사
심장/혈관계 판막이상, 심근질환, 혈관협착 등 진단
유방 유방 결절 및 종괴의 일차적 검사, 유방암의 스크리닝 검사,
유방암의 조직 검사 및 수술 후 추적 검사, 유방성형확인 등
갑상선 갑상선 결절 ㆍ 낭종 감별 진단 및 미세침 흡입 검사, 추적 검사
위장관 급성 충수염 진단(소아에서 유용하며 심한 비만환자는 검사 곤란),
급성 게실염, 말단 회장염의 보조 진단 등

초음파 검사 전 준비사항

검사를 받기 전에 검사용 가운으로 갈아 입고, 장신구를 빼시는 것이 좋습니다.
상복부 초음파검사는 6시간 이상의 공복을 필요로 하고, 골반강 초음파검사는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참으셔야 합니다.

초음파 검사의 한계점

초음파는 위장관 검사를 할 수 없고, 비만이 심한 경우에는 초음파가 지방층을 잘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좋은 검사 결과를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뼈도 초음파가 투과하지 못해 뼈 속을 평가할 수 없습니다.